글
老馬識道(노마식도)
제(齊)나라의 국상 관중(管仲)이 제환공(齊桓公)을 따라 고죽국(孤竹國)을 치러 나섰다. 봄에 떠난 군사들이 겨울이 되어서야 철군을 하게 되었다. 그 사이 적진에 너무 깊숙이 들어 갔다 나오는 탓에 제나라 군사들은 그만 길을 잘못 들어 엉뚱한 곳에서 헤매는 것이 아닌가. 어디가 어딘지 분간을 못하는 군사들은 길을 잃고 갈팡질팡 방황하고 있는데, 이때 관중이 나서서 말했다.“노마(老馬)의 슬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소. 그놈들은 경험이 많기 때문에 길을 잘 알아 우리를 안내 해 줄 겁니다.”그러면서 늙은 말을 몇 필 골라 풀어 놓고 앞장서서 걷게 했다. 아니나 다를까. 늙은 말들은 고스란히 봄에 왔던 길을 따라 가는 것이었다. 이렇게 해서 제나라 군사들은 무사히 회군하게 되었다.
교회에서 원로장로 추대식을 하는데 추대되는 원로장로가 자기를 향해 “노마식도”라는 표현을 하였다.
이제 내가 老馬가 되었으니 나의 지혜를 따르라?
아무래도 아닌 것 같다.
차라리 鈍馬라고 했다면 더욱 좋았을 것 같다.
RECENT COMMENT